중국 공작기계 산업 및 기술 동향
본문
중국 공작기계 산업 및 기술 동향
- 중국 금속가공 공작기계 생산액 및 수요 전 세계 시장의 약 1/3 차지
- 중국 공작기계 산업 고급화, 스마트화 방향으로의 전환 가속화
중국 공작기계(Machine Tool) 산업 시장 규모
공작기계는 기계제조에 사용되는 기계로, 일반 기계제조에서 공작기계는 작업 총량의 약 40~60%를 차지하는 현대 산업 발전의 중요한 초석이라 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방법에 따라 공작기계는 전통적인 공작기계와 CNC* 공작기계로 나눌 수 있다.
전통적인 공작기계는 주로 수동 제어를 통해 절단 작업을 진행해 작업 정확도와 효율성이 낮다. 반면 CNC 공작기계는 프로그래밍 된 제어 시스템을 갖춘 일종의 자동화 공작기계로, 복잡성, 정밀도, 대규모, 다종 부품 등 여러 가지 생산 가공 문제를 해결해 주는 솔루션으로 CNC 공작기계가 사용될 경우 공정이 자동화되고 생산성도 향상된다.
* CNC 공작기계: 컴퓨터 수치 제어(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시스템으로 프로그래밍 된 가공 명령을 실행하는 자동화 가공 장비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제조 산업의 핵심 장비인 공작기계는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제조업의 경쟁력은 공작기계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24년 세계 공작기계 시장 규모는 625.5억 달러로 2025~2029년 연평균 성장률은 4.8%로 예상된다.
중국은 세계에서 공작기계 수요가 가장 많은 나라로, 가장 큰 공작기계 생산기지 중 하나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금속가공 공작기계 생산액은 1,935억 위안으로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은 약 3분의 1에 달한다. 독일과 일본은 각각 13%, 11%의 점유율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동시에 중국의 공작기계 수요도 전 세계 수요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미국과 독일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중국 제조 2025> 전략의 추진으로 중국 공작기계 산업은 고급화, 스마트화 방향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기술, 품질 면에서 선진국과의 격차를 점차 좁혀가고 있다.
공작기계는 가공의 대상으로 분류하면 금속가공 공작기계(금속 절삭 공작기계와 금속 성형 공작기계 포함), 목공 가공 공작기계, 석재 가공 공작기계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금속가공 공작기계는 전체 공작기계의 약 2/3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공작기계다.
2020~2021년 중국 제조업 경기 회복과 국산 기술 발전 등의 영향으로 2020년 금속 절삭 기계 생산량은 44만 6,000대, 그리고 2021년에는 60만 2,000대로 전년 대비 35% 성장했다. 2022년에는 거시경제 성장 둔화로 금속 절삭 공작기계 생산량이 57만 2,000대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2023년 생산량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61만 3,000대로 다시 회복세를 보였다.
CNC 공작기계는 고효율성의 자동화 공작기계로, 공작기계의 대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1958년 최초로 국산 CNC 공작기계 개발에 성공했고, 현재는 CNC 공작기계를 대표하는 국가가 됐다. <중국 공작기계 산업 연감>에 따르면, 2024년 중국 CNC 공작기계 시장 규모는 약 4,325억 위안에 달했다. 중국 베이징 공작기계 연구소의 예측에 따르면, 2025년에는 산업 시장 규모가 4,5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고성능 CNC 공작기계의 국산화
중국의 CNC 공작기계 기업은 주로 중하위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 많고 첨단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은 많지 않은 수준이다. 현재 중국의 중하위 기술력 CNC 공작기계의 현지화 비율(국산화 비율)은 65%, 82%인데 반해 고성능 CNC 공작기계의 현지화 비율은 아직 6%에 불과하다.
<중국 제조 2025>에서는 “고성능 CNC 공작기계”를 향후 10년간 제조업 중점 발전 분야 중 하나로 지정했으며, 2025년까지 고성능 CNC 공작기계 국산화율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 해관에서 발표한 수입 통계에 따르면, 고성능 공작기계 수입액은 400~500억 위안으로 아직 많은 양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고성능 CNC 공작기계 시장의 경쟁은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현재는 주로 외국 기업이 고사양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이 이를 따라잡기 위해 기술력 향상 등 노력을 하고 있다. 2023년 중국 공작기계 산업의 상위 10개 상장 기업은 다음과 같다.
중국 공작기계 산업 신기술 및 발전 트렌드
중국은 공작기계 산업 기술 발전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았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발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아래에서는 중국 공작기계 산업 발전 트렌드와 신기술을 소개한다.
① 통합성
다양한 기능을 갖춘 공작기계가 향후 시장 경쟁에서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밀링, 연삭, 기어 가공, 3D 프린팅 및 기타 다양한 공정을 하나의 공작기계로 통합해 효율성을 높이는 과정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② 디지털화
공작기계 산업의 디지털화는 디지털 트윈,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및 기타 기술을 사용해 생산력과 생산 효율성을 개선하고 공작기계 고장을 줄이며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공작기계 제조업체 장쑤 야웨이(江苏亚威)에서 개발한 스마트 제조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기계 작동 데이터를 수집해 공작기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예측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③ 자동화
공작기계 산업은 자동화 기술을 사용해 생산 효율성을 개선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중국은 공작기계 시장의 가장 큰 생산기지이자 수요처다. 중국 국산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지만, 아직은 고급 공작기계에 대한 수입 수요도 높은 편이다. 2025년 3월 13~15일 시안에서 열린 ‘서부 장비 제조 전시회’에 참가한 공작기계 제조업체 M 사의 담당자는 KOTRA 시안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한국 중소기업 S 사의 제품을 수입하고 대리해 중국 시장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 제품은 정밀하고 기술력이 뛰어나 중국 내에서 꾸준한 수요가 있다”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기술적 우위를 가진 우리 기업들은 중국 관련 기업과 다양한 형태의 상호 협력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 자료제공: 베지어스 컨설팅, 허준 컨설팅, 중국 공작기계 공구 공업협회, 중국기계공업 출판사,CAIJING 뉴스, AskCi, 중국 국무원, 공작기계 상장회사 공시 자료, KOTRA 시안무역관 자료 종합
* 자료편집: 핸들러전문지
- 이전글스마트 제조, AI, 에너지 혁신… 2025 하노버 산업전이 조명하는 독일 산업 트렌드 25.05.20
- 다음글민(民)-관(官)-학(學) 협력으로 고속 성장 중인 중국 인공지능(AI) 산업 25.05.20